맨위로가기

2004년 하계 올림픽 역도 여자 63kg급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4년 하계 올림픽 역도 여자 63kg급 경기는 2004년 8월 18일에 진행되었다. 우크라이나의 나탈리아 스칼쿤이 합계 242.5kg으로 금메달을 획득하며 올림픽 기록을 세웠고, 한나 바치우슈카는 인상에서 세계 신기록을 세웠지만 합계 242.5kg으로 은메달을 획득했다. 벨라루스의 타치아나 스투칼라바가 동메달을 차지했으며, 대한민국의 김수경은 5위를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4년 여자 역도 - 2004년 하계 올림픽 역도 여자 +75kg급
    2004년 하계 올림픽 역도 여자 +75kg급은 탕궁훙이 금메달, 장미란이 은메달, 아가타 브루벨이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탕궁훙은 용상과 합계에서, 장미란은 합계에서 올림픽 기록을 경신했다.
  • 2004년 하계 올림픽 역도 - 2004년 하계 올림픽 역도 여자 +75kg급
    2004년 하계 올림픽 역도 여자 +75kg급은 탕궁훙이 금메달, 장미란이 은메달, 아가타 브루벨이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탕궁훙은 용상과 합계에서, 장미란은 합계에서 올림픽 기록을 경신했다.
  • 2004년 하계 올림픽 역도 - 2004년 하계 올림픽 역도 남자 +105kg급
    2004년 하계 올림픽 역도 남자 +105kg급은 2004년 8월 25일에 진행되었으며, 이란의 호세인 레자자데가 금메달, 라트비아의 빅토르스 셰르바티스가 은메달, 러시아의 벨라 무흐타로프가 동메달을 획득했고 대한민국의 안용권은 10위를 기록했다.
  • 2004년 하계 올림픽 여자 종목 - 2004년 하계 올림픽 축구 여자
    2004년 아테네 올림픽 여자 축구는 10개국이 참가하여 미국이 브라질을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크리스티아니 호제이라와 비르기트 프린츠가 득점왕을 공동 수상하고 일본과 스웨덴이 FIFA 페어 플레이상을 공동 수상했다.
  • 2004년 하계 올림픽 여자 종목 - 2004년 하계 올림픽 역도 여자 +75kg급
    2004년 하계 올림픽 역도 여자 +75kg급은 탕궁훙이 금메달, 장미란이 은메달, 아가타 브루벨이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탕궁훙은 용상과 합계에서, 장미란은 합계에서 올림픽 기록을 경신했다.
2004년 하계 올림픽 역도 여자 63kg급 - [올림픽 종목 정보]에 관한 문서
대회 정보
종목역도 여자 63kg급
대회2004년 하계 올림픽
개최지아테네
경기장니카이아 올림픽 역도 경기장
날짜2004년 8월 18일
참가 선수9명
참가 국가8개국
메달 획득
금메달나탈리아 스칼쿤
금메달 국가UKR
은메달한나 바치우슈카
은메달 국가BLR
동메달타치아나 스투칼라바
동메달 국가BLR
올림픽 역도 여자 63kg급
이전 대회2000
다음 대회2008

2. 경기 일정

동유럽 서머 타임(UTC+03:00) 기준 경기 일정은 다음과 같다.

날짜시간세부 종목
2004년 8월 18일16:30A조


2. 1. A조

모든 시간은 동유럽 서머 타임 (UTC+03:00) 기준이다.

날짜시간세부 종목
2004년 8월 18일16:30A조


3. 경기 결과

순위선수그룹체중인상 (kg)용상 (kg)합계
123결과123결과
align=left|A61.59100.0105.0107.5107.5125.0135.0135.0242.5
align=left|A62.87105.0110.0115.0115.0120.0120.0127.5127.5242.5
align=left|A62.9095.0100.0100.0100.0115.0120.0122.5122.5222.5
4align=left|A62.5095.0100.0100.095.0120.0120.0120.0120.0215.0
5align=left|A62.9692.592.597.592.5122.5132.5132.5122.5215.0
6align=left|A61.1585.090.095.095.0110.0115.0117.5110.0205.0
7align=left|A62.4785.090.092.585.0115.0120.0120.0115.0200.0
align=left|A62.0897.597.597.597.5117.5117.5117.5
align=left|A62.83100.0






경기는 인상과 용상 각 3회의 시기를 하여, 가장 좋은 기록을 합산하여 최종 순위를 결정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3. 1. 메달리스트

우크라이나 (UKR)은메달한나 바치우슈카
벨라루스 (BLR)동메달타치아나 스투칼라바
벨라루스 (BLR)


3. 2. 전체 순위

순위이름국적인상 (kg)용상 (kg)합계 (kg)
1나탈리아 스칼쿤우크라이나107.5135.0 (Olympic Record|올림픽 기록영어)242.5
2한나 바치우슈카벨라루스115.0 (World Record|세계 기록영어)127.5242.5
3타치아나 스투칼라바벨라루스100.0122.5222.5
4하옛 사씨튀니지95.0120.0215.0
5김수경대한민국92.5122.5215.0
6찌 쩻 능웬베트남95.0110.0205.0
7레일라 프란퀴스 라쏘아니알제리85.0115.0200.0
-아나스타시아 트사키리그리스97.5-실격
-카르남 말레스와리인도--실격






참가 선수들은 인상과 용상 각 3회의 시기를 해서 가장 좋은 성적을 합산해 최종 순위를 결정했다. 여자 63kg급 경기에서는 세계 신기록과 올림픽 신기록이 각각 하나씩 세워졌다.

4. 신기록

참가 선수들은 인상과 용상 각 3회의 시기를 해서 가장 좋은 성적을 합산해 최종 순위를 결정했다. 세계 신기록과 올림픽 신기록이 각각 하나씩 세워졌다.[1]

종목중량선수비고
인상115kgHanna Batsiushka|한나 바치우슈카영어 (벨라루스)세계 기록
용상135kgNataliya Skakun|나탈리야 스카쿤영어 (우크라이나)올림픽 기록


5. 기존 기록

경기에 앞서 세계 기록과 올림픽 기록은 다음과 같았다.

종류선수기록장소날짜
인상 세계 기록113.5 kg밴쿠버2003년 11월 18일
용상 세계 기록138.0 kg밴쿠버2003년 11월 18일
합계 세계 기록247.5 kg친황다오2003년 9월 12일
인상 올림픽 기록112.5 kg시드니2000년 9월 19일
용상 올림픽 기록올림픽 기준132.5 kg1997년 1월 1일
합계 올림픽 기록242.5 kg시드니2000년 9월 19일


5. 1. 인상

Snatch영어는 역도의 세부 종목 중 하나로, 바벨을 머리 위로 한 번에 들어 올리는 동작이다.

2004년 하계 올림픽 역도 여자 63kg급 경기에서는 벨라루스의 한나 바치우슈카가 인상에서 115.0kg을 들어 올려 세계 신기록을 세웠다.[1] 이전 세계 기록은 2003년 11월 18일 캐나다 밴쿠버에서 한나 바치우슈카가 세운 113.5kg이었다.[1] 올림픽 기록은 2000년 9월 19일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에서 열린 2000년 하계 올림픽에서 천샤오민이 세운 112.5kg이었다.[1]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순위선수국적인상 기록 (kg)
1나탈리아 스칼쿤우크라이나107.5
2한나 바치우슈카벨라루스115.0 (세계 신기록)
3타치아나 스투칼라바벨라루스100.0
4하옛 사씨튀니지95.0
5김수경대한민국92.5
6찌 쩻 능웬베트남95.0
7레일라 프란퀴스 라쏘아니알제리85.0
-아나스타시아 트사키리그리스97.5
-카르남 말레스와리인도-


5. 2. 용상

Clean and jerk영어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순위이름국적용상(kg)
1나탈리아 스칼쿤우크라이나135.0 (OR)
2한나 바치우슈카벨라루스127.5
3타치아나 스투칼라바벨라루스122.5
4하옛 사씨튀니지120.0
5김수경대한민국122.5
6찌 쩻 능웬베트남110.0
7레일라 프란퀴스 라쏘아니알제리115.0
-아나스타시아 트사키리그리스
-카르남 말레스와리인도-



우크라이나의 나탈리야 스카쿤이 135.0kg을 들어올려 올림픽 신기록을 세웠다.[1]

5. 3. 합계

참가 선수들은 인상과 용상 각 3회의 시기를 해서 가장 좋은 성적을 합산해 최종 순위를 결정했다. 이 대회에서는 세계 신기록과 올림픽 신기록이 각각 하나씩 세워졌다.

순위이름국적인상(kg)용상(kg)합계(kg)
1나탈리아 스칼쿤우크라이나107.5135.0 (OR)242.5
2한나 바치우슈카벨라루스115.0 (WR)127.5242.5
3타치아나 스투칼라바벨라루스100.0122.5222.5
4하옛 사씨튀니지95.0120.0215.0
5김수경대한민국92.5122.5215.0
6찌 쩻 능웬베트남95.0110.0205.0
7레일라 프란퀴스 라쏘아니알제리85.0115.0200.0
-아나스타시아 트사키리그리스97.5실격
-카르남 말레스와리인도--실격


참조

[1] 웹사이트 Athens 2004: Weightlifting – Women's 63 kg http://library.la84.[...] LA84 Foundation 2016-09-30
[2] 웹사이트 Weightlifting at the 2004 Athens Summer Games: Women's Middleweight https://web.archive.[...] 2020-02-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