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년 하계 올림픽 역도 여자 63kg급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4년 하계 올림픽 역도 여자 63kg급 경기는 2004년 8월 18일에 진행되었다. 우크라이나의 나탈리아 스칼쿤이 합계 242.5kg으로 금메달을 획득하며 올림픽 기록을 세웠고, 한나 바치우슈카는 인상에서 세계 신기록을 세웠지만 합계 242.5kg으로 은메달을 획득했다. 벨라루스의 타치아나 스투칼라바가 동메달을 차지했으며, 대한민국의 김수경은 5위를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4년 여자 역도 - 2004년 하계 올림픽 역도 여자 +75kg급
2004년 하계 올림픽 역도 여자 +75kg급은 탕궁훙이 금메달, 장미란이 은메달, 아가타 브루벨이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탕궁훙은 용상과 합계에서, 장미란은 합계에서 올림픽 기록을 경신했다. - 2004년 하계 올림픽 역도 - 2004년 하계 올림픽 역도 여자 +75kg급
2004년 하계 올림픽 역도 여자 +75kg급은 탕궁훙이 금메달, 장미란이 은메달, 아가타 브루벨이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탕궁훙은 용상과 합계에서, 장미란은 합계에서 올림픽 기록을 경신했다. - 2004년 하계 올림픽 역도 - 2004년 하계 올림픽 역도 남자 +105kg급
2004년 하계 올림픽 역도 남자 +105kg급은 2004년 8월 25일에 진행되었으며, 이란의 호세인 레자자데가 금메달, 라트비아의 빅토르스 셰르바티스가 은메달, 러시아의 벨라 무흐타로프가 동메달을 획득했고 대한민국의 안용권은 10위를 기록했다. - 2004년 하계 올림픽 여자 종목 - 2004년 하계 올림픽 축구 여자
2004년 아테네 올림픽 여자 축구는 10개국이 참가하여 미국이 브라질을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크리스티아니 호제이라와 비르기트 프린츠가 득점왕을 공동 수상하고 일본과 스웨덴이 FIFA 페어 플레이상을 공동 수상했다. - 2004년 하계 올림픽 여자 종목 - 2004년 하계 올림픽 역도 여자 +75kg급
2004년 하계 올림픽 역도 여자 +75kg급은 탕궁훙이 금메달, 장미란이 은메달, 아가타 브루벨이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탕궁훙은 용상과 합계에서, 장미란은 합계에서 올림픽 기록을 경신했다.
2004년 하계 올림픽 역도 여자 63kg급 - [올림픽 종목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정보 | |
종목 | 역도 여자 63kg급 |
대회 | 2004년 하계 올림픽 |
개최지 | 아테네 |
경기장 | 니카이아 올림픽 역도 경기장 |
날짜 | 2004년 8월 18일 |
참가 선수 | 9명 |
참가 국가 | 8개국 |
메달 획득 | |
금메달 | 나탈리아 스칼쿤 |
금메달 국가 | UKR |
은메달 | 한나 바치우슈카 |
은메달 국가 | BLR |
동메달 | 타치아나 스투칼라바 |
동메달 국가 | BLR |
올림픽 역도 여자 63kg급 | |
이전 대회 | 2000 |
다음 대회 | 2008 |
2. 경기 일정
동유럽 서머 타임(UTC+03:00) 기준 경기 일정은 다음과 같다.
날짜 | 시간 | 세부 종목 |
---|---|---|
2004년 8월 18일 | 16:30 | A조 |
2. 1. A조
모든 시간은 동유럽 서머 타임 (UTC+03:00) 기준이다.날짜 | 시간 | 세부 종목 |
---|---|---|
2004년 8월 18일 | 16:30 | A조 |
3. 경기 결과
순위 선수 그룹 체중 인상 (kg) 용상 (kg) 합계 1 2 3 결과 1 2 3 결과 align=left| A 61.59 100.0 105.0 107.5 107.5 125.0 135.0 — 135.0 242.5 align=left| A 62.87 105.0 110.0 115.0 115.0 120.0120.0 127.5 127.5 242.5 align=left| A 62.90 95.0 100.0100.0 100.0 115.0 120.0 122.5 122.5 222.5 4 align=left| A 62.50 95.0 100.0100.095.0 120.0120.0120.0 120.0 215.0 5 align=left| A 62.96 92.592.5 97.592.5 122.5 132.5132.5122.5 215.0 6 align=left| A 61.15 85.0 90.0 95.0 95.0 110.0 115.0117.5110.0 205.0 7 align=left| A 62.47 85.0 90.092.585.0 115.0 120.0120.0115.0 200.0 — align=left| A 62.08 97.597.597.5 97.5 117.5117.5117.5— — — align=left| A 62.83 100.0— — — — — — — —
경기는 인상과 용상 각 3회의 시기를 하여, 가장 좋은 기록을 합산하여 최종 순위를 결정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3. 1. 메달리스트
우크라이나 (UKR)은메달 한나 바치우슈카
벨라루스 (BLR)동메달 타치아나 스투칼라바
벨라루스 (BLR)